- 교육명
- 공감하기01_포스터활동
- 교육목표
-
특정 상황의 사진을 보고 토론하며, 당사자들의 입장을 공감하도록 한다.
공감을 통해서 주제 심화 탐구활동를 위한 연습 시간을 갖도록 한다.
- 레벨
- 전학년
- 단계(Step)
- 탐색과분석
- 참고자료
- [단행본] 1. <Get Global> 교육 자료 활용 시리즈, 아름다운가게 2. <평화교육 새롭게 만나기>, PEACE MOMO
- 준비물
- 사진, 전지, 스카치테잎, 매직, 포스트잇
- 소요시간(차시)
- 30분
- 주요질문
-
우리 지구에는 왜 불평등하게 살아가는 존재들이 있는 걸까?
우리 사회에 존중과 돌봄을 받지 못하고 차별받는 존재들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가?
우리가 그동안 모르고 살아온 존재들과 더불어 함께 살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?
- 진행내용
-
[열기]
<할머니와 냉장고> 유튜브동영상 vs
<아버님댁에 보일러 놔드랴야 겠어요> 경동보일러 광고 동영상
두 광고에 대해서 비교해 본다. 그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것, 누군가를 옹호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본다.[전개]
1. 모둠별로 테이블 위에 전지를 붙이고 그 위에 ‘사진’을 붙인다.
(사진: 장애인, 오염된 바다에 사는 생물, 노숙자, 유기견, 이주민, 북극곰, 왕따 등)
2. 사진을 자세히 보고, 무엇이 보이는지, 어떤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, 어떤 냄새가 날지에 대해 상상해본다.
사진 바깥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? 상상하면서 사진 바깥 종이 위에 그려 넣어보자.
3. 이곳은 어디일까?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?
4. 사진 속 정보를 주고 (장소, 어떤 사람들인지) 지금까지 나온 이야기 외에 그에 대한 정보를 더 찾아보고 불편한 점, 위기상황, 그렇게 된 이유, 필요한 것들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.
5. 만약 사진 속에 살고 있다면…? 만약에 이 상태로 10년, 20년, 30년 뒤의 모습은 어떻게 될까?
4. 사진 속의 사람들(동식물 등)이 되었다고 생각해보고 그들이 우리에게 어떤 말을 할지 포스트잇(3장씩)에 상상하고 적어본다.
5. 모듬별로 사진 속 상황에 대해서 발표한다. (불편한 점 혹은 위기상황, 그렇게 된 이유, 필요한 것들)[마무리]
각 모듬별로 2~3명씩 나와서 그 상황에 처한 사람들이나 동식물들이 우리 인간에게 어떤 말을 하는지 그 존재가 되어 이야기 한다. 그 이야기를 들은 나머지 친구들이 그 존재에게 해 주고 싶은 이야기를 한마디씩 해준다.
- 진행tip
-
1. 동일한 사진보다는 다양한 주재에 대해서 공감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특정한 한 가지 주제에 대해서 다양한 사진을 준비하여 이야기해 볼 수도 있다.
2. 장애인, 노숙자, 유기견, 이주민, 난민, 아프리카 기아, 왕따, 북극곰, 쓰레기 등 다양한 문제 들 중 하나의 주제를 선택 후, 특정 주제 관련 사진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다
3.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사진은 특정 장소, 나라 또는 지역사회의 전반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. 적절히 쓰되 도시와 농촌, 현대와 전통, 부자와 가난한 자, 노인과 젊은이 양측 모두를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.
4. 이 때, 주제에 따라 사진과 질문 접근법이 달라져야 한다.
5. 마무리로 그 존재들의 입장에서 한 이야기를 살펴보고, 시를 써보는 것도 좋다.
6.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람, 국가와 특정 대륙/지역에 대한 일반화는 피하도록 한다. 그렇게 된 원인이 논쟁의 여지가 많은 것보다는 뚜렷한 이유가 있는 것을 선택한다.
7. 마무리 다른 존재가 되어 그 입장에서 이야기를 하고 그 존재에게 자신의 마음을 전할 때는 장난스럽지 않게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(눈을 감고 음악을 들려준다, 원으로 앉고 되고자 하는 존재를 가운데 앉힌다) 를 만들어 준다.
- 함께하면 좋은교안
- [문제선정], [문제분석], 옹호하기(눈가리고 펜줍기)
- 주요 키워드
- 공감하기, 포스터활동
- 관련 사진
-
선택한 주제와 관련된 사진을 붙이고,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입장이 되어 어떤 마음일지 적어보는 공감활동입니다.
선택한 주제와 관련된 사진을 붙이고,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입장이 되어 어떤 마음일지 적어보는 공감활동입니다.
댓글